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 약 구 체

딱딱한 의학서적은 아니었다. 서울대 저명한 교수들의 강의 형식의 책.   최신의 생물학적 정보를 재미있게 꾸몄다. 말로만 수없이 듣던 DNA 의 구조도 그림으로 쉽게 설명해 놓았으며, 우리가 몰랐던 약 에 대한 상식들. 입(口)을 통한 건강정보 등.   이 책에 있는 내용만 알아도 유식하다는 말 듣겠다.   일부는 너무 전문적인 내용도 있지만 꼭 알고 넘어가야되는 부분도 있고 아는체하기 좋은 정보들도 많다.   우리의 뇌 에 새로운 정보를 저장하고프다면 읽어봄직 하다.      

서울대학교 명강의로 이름난 7인의 석학지상 최고의 복잡계인 ‘내 몸’의 숨겨진 질서를 읽는다! 뇌, 약, 구, 체 - 과학은 내 몸을 알고 있다 는 서울대학교 생명공학공동연구원과 평생교육원이 생명공학의 대중화를 목적으로 공동 기획한 「바이오 대중강좌」를 책으로 옮긴 것이다. 서울대학교 내에서도 최고의 명강의로 이름을 날리시는 석학들이 서울대 학생만이 아니라, 중고생을 비롯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알기 쉬운 명품 강의를 제공해드린다는 취지로 기획되었다. 이책은 그 강좌들 중 대표적인 7편의 강의를 선별하여 담았다.생명공학, 바이오, BT 등의 용어는 이제 특정 전문 서적에 나오는 용어가 아니라, 일반인들이 읽는 신문과 잡지에서 빈번히 접하는 단어가 되었다. DNA가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DNA를 우리 마음대로 자르고 붙일 수 있는 DNA 재조합 기술까지 개발되면서 드디어 생명공학의 새로운 장이 열리게 되었다. 생명공학은 이제 특정 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인 ‘누군가의 과학’이 아니라, ‘바로 나’의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된 지식이다. 이책은 ‘우리 몸’에 관련된 생명공학의 비밀을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쉽고 흥미롭게 풀어낸다. 그리고 과학과 생활의 영역을 넘나들며 우리 삶이 어떻게 변화할지 궁금한 독자들에게, 신선한 재미와 통쾌한 과학의 문법으로 에듀테인먼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들어가는 말

1 영화 속의 생명공학 - 박태현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고층 빌딩을 들이박은 비행기 - 9 · 11 테러 | 멸종한 공룡을 살려내는 이야기 「쥐라기 공원」 | DNA가 뭐길래 | 한 페이지만 잘 써도 받을 수 있는 노벨상 | 생명체의 정보를 저장하는 DNA | 인간 게놈 프로젝트 | DNA를 마음대로 자르고 붙이기 | 거꾸로 읽어도 똑같은 팰린드롬 | 1976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일어난 일 | 유전공학 회사의 설립과 성공 스토리 | 레드, 그린, 화이트 바이오테크놀로지 | 돈을 벌어주는 생명공학 기술 | 흥미로운 특성을 가지고 있는 거미줄 | 거미의 DNA를 가지게 된 인간 「스파이더맨」 | 복제양 돌리의 탄생 | 죽은 애완견을 살려주는 가게, 리펫 | 복제인간을 다룬 영화 「아일랜드」

2 즐거운 뇌, 우울한 뇌 - 강봉균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뇌의 생김새 | 뇌가 하는 일 | 뇌 안의 모습 | 뉴런의 하모니 | 시냅스와 전기충격 | 유연하고 탄력적인 시냅스 | 우리는 눈이 아니라 뇌로 본다 | 시냅스와 자아 | 뇌가 잘못되면? | 뇌과학의 미래 | 기억을 조작할 수 있을까? | 건강한 뇌

3 기성약 시대에서 맞춤약 시대로 - 심창구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약 - 야누스의 두 얼굴 | 보석보다 비싼 열쇠 | 약학에서 연구하는 것들 | 먹는 약, 맞는 약, 붙이는 약 | 진보하는 약 | 기성약의 한계 | 지금은 맞춤약학 시대 | 제약산업의 살 길은 신약 개발 | 우리나라의 신약 개발 | 우리나라 약학의 미래

4 복제개 스너피 - 이병천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생명 복제란 무엇인가? | 복제동물의 역사 | 개의 복제 과정 | 복제된 개들의 어제와 오늘 | 개 제 기술로 할 수 있는 것들

5 구강, 몸과 마음의 창 - 고홍섭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교수
구강내과란? | 구강은 젊음의 표시 | 구강과 관련된 신체 질환 | 구강건조증과 질병들 | 턱관절 장애와 스트레스 | 이갈이 | 혀의 통증과 우울증 | 만성 안면 통증과 마음 | 구강점막 질환과 심리 장애 | 건강한 구강 관리법

6 생명체의 일꾼, 단백질 - 이상기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
생명체의 역동적인 일꾼 | 유전정보 DNA와 단백질 | 단백질의 단위체, 아미노산 | 아미노산의 중합체, 단백질 | X선 회절을 사용한 단백질의 3차 구조 규명 | 단백질의 3차 구조와 노벨상 |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이용한 인류의 복지 향상 |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이용한 신약 개발 | 단백질의 3차 구조를 연구하는 과학자의 모험

7 비만과 나 - 김재범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
지방조직과 비만 | 비만의 정의 | 비만이 부르는 질병들 |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 | BMI와 체지방 | 지방조직은 적군이자 우군 | 세트포인트 가설 | 과학과 과학자